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박상욱의 "과학자 vs. 과학자의 가상토론" 여러 과학과 사회의 쟁점을 두고 서로 다른 관점을 지닌 자연과학자와 사회과학자가 가상논쟁을 벌인다. 규칙은 상대의 허점을 파고들되 배려하며, 자기주장을 설득하되 솔직할 것![연재] “거인의 어깨위에서 멀리 보다”..그런데 어떤 거인?

외부스크랩

by techbard 2010. 7. 6. 17:07

본문

반응형
http://scienceon.hani.co.kr/blog/archives/9443

재미있는 대화 내용인 듯...

읽어보니, 우리 분야는 태생은 자연과학이지만, 현재의 메커니즘은 사회과학처럼 흘러가고 있는듯... 그러고 보니 애자일은 자연과학이라기 보다는 사회과학에 가깝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소박: 현대사회에서 적확하게 적용 가능하다기보다는, 뭐랄까요, 오래 전 선배 학자들의 업적인 학문적 원류로부터 내려온 생각의 흐름을 리뷰하고 그 끝에 내 생각을 추가하는 식이랄까요. 사상과 이론의 흐름을 쫓아 올라가다 보면 흔히 있는 일입니다.


나박: 자연과학도 선배 학자들의 업적을 바탕으로 해서 발전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논문을 쓸 때 역학 계산을 했다고 뉴튼을 인용하거나, 전지에 관한 논문이라고 해서 볼타를 인용하지는 않아요! 사회과학하시는 분들, 혹시 옛날 책 많이 읽었다고 과시하기 위해서 그렇게 오래된 자료들을 주렁주렁 참고문헌으로 다는 것 아닌가요?


소박: 글쎄요. 과시용이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습니다만, 그 말씀을 듣고 보니 절반 정도는 맞는 말인 것도 같습니다. 왜냐면, 내가 이만큼 공부를 했고, 학문의 긴 흐름을 알고 있는 사람이고, 내 연구가 어떤 학문적 조류의 연장선상에, 어느 위치에 놓이며 어떤 가치를 갖는다 하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서 참고문헌을 열거하는 측면도 있거든요. 그런데요, 그러면 자연과학자들은 대체 무엇을 참고문헌으로 답니까?

...

뉴튼이 한 말이라죠. “내가 만약 더 멀리 보았다면, 거인들의 어깨에 서 있었기 때문이다.” 이 말에서 ‘거인들’이란 선배 학자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곤 합니다. 과학의 진보라는 것이 과거로부터 누적된 결과 위에 보태는 것이라는 뜻이죠. 최근에 이 ‘거인들’을 조금 달리 해석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선배 학자들 뿐 아니라 현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동료 과학자들을 칭하는, 그러니까 거인들이란 과학자 커뮤니티라는 의견입니다. 어떤 해석이든, 한 명의 천재가 모든 것을 이뤄내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오늘 대담을 정리해 보니, 사회과학의 경우에는 학문적 계보가, 자연과학의 경우에는 집단 지성이 각각 ‘거인들’에 가깝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